[정신병 이야기] 내가 겪은 우울증 증상들

2023. 3. 6. 23:57정신병 이야기(뇌과학)


1. 내 우울

한 번도 우울증을 겪어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나는 상상하기 힘든 일이다. 중학생, 고등학생 내내 멜랑꼴리 한 음악들을 들으며 시간을 보냈다. 대학생 때는 엉망진창이 된 생활패턴과 함께 미성숙한 우울이 찾아왔다. 그리고 직장생활을 하면서는 의미를 잃은듯한 허망한 우울이 찾아왔다. 다행인 것은 눈만 뜨면 죽음을 생각하는 아주 무서운 우울은 겪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 내 곁엔 아주 소중하고 고마운 사람이 있고, 내 생활은 아주 잘 돌아가고 있다.

2. 내가 우울에 취약한 이유

선천적으로 친가가 우울증 기질이 있는 것 같다. 우리 엄마는 항상 “너네 아빠 쪽이 확실히 그런 게(우울감) 있어”라고 종종 말씀하셨는데 자식의 단점은 남편 탓으로 돌리는 가벼운 험담은 아니었다. 믿거나 말거나. 하지만 내가 보기에도 친가 쪽은 억세고 덕없던 할머니 밑에서 자란 탓인지 제대로 풀리는 형제가 없었고, 아빠도 우울과 술에 매우 취약한 사람이었다. 유전적으로 걱정과 불안이 높은 유전자가 있는 건지, 아니면 이상한 할머니 밑에서 불안정하게 자란 아빠가 나에게 큰 영향을 미친 건지는 모르겠다. 유전과 우울증의 상관관계는 있지만 후천적인 환경 영향도 크다고 한다. 하지만 가난한 어린 시절부터 결혼 후 세 딸을 낳을 때까지 딱히 행복할 일이 없었을 우리 엄마가 항상 씩씩하게 사시는 걸 보면 유전 영향이 굉장히 크지 않을까 싶다. 하긴 엄마는 어린 시절 집은 가난했어도 할머니 할아버지 모두 크게 문제없는 환경이었다고 했다.

3. 내가 겪은 우울증 증상

  • 밤낮 바뀜
  • 몸이 항상 무겁고 움직이기 싫음
  • 집이 마구 어질러져 있음
  • 살아내기 위해 에너지 쓰는 게 너무 스트레스
  • 사소한 선택도 하기 싫고 의미 없다고 느껴짐
  • 치매환자처럼 단순한 결정도 못 내림
  • 뇌기능 저하로 기억력 감퇴
  • 차 사고 나서 입원하면 내 인생이 잠깐이라도 멈추겠지? 라는 생각한 적 있음
  • 사람이 싫고 소통하기 싫어짐


4. 우울이 사라진 이유

내 경우는 좋은 사람을 만나면서 정착하고 싶어지고, 둘이 행복하게 잘살고 싶은 욕구가 나의 우울감을 없앴다. 내 우울증은 욕구가 갈피를 못 잡고 결국 아무것도 원하지 않게되어서 생기는 병같은데 한 사람의 등장으로(두둥!!) 에너지랑 욕구가 온전히 방향성을 가지고 모아졌다. 엔트로피가 줄어들고 안정을 찾게되서 요즘은 행복하다.


5. AI에게 물어본 우울증 치료법

우울증의 치료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됩니다.

1) 인지행동치료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 인지행동치료는 부정적인 생각 패턴을 개선하고, 부정적인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며, 긍정적인 생각과 행동을 강화하는 방식의 심리치료입니다.

2) 항우울제 : 약물치료는 중증도와 증상에 따라 선택됩니다.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나 적절한 효과를 내는 다른 항우울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물리치료 : 신체적인 활동이 우울증 증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일상적인 운동, 요가, 태극권, 플라잉 요가 등의 물리적인 활동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4) 광요법 : 겨울철에 자주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특별한 광원 하에서 노출되면서 체내 멜라토닌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해 우울증 증상을 개선합니다.

5) 대인관계 개선 : 대인관계에서의 문제가 우울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관계 개선을 위해 커뮤니케이션 스킬 개선, 사회적 지원을 받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위의 방법들 중 일부 또는 여러 가지를 조합하여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 방법은 환자마다 다르기 때문에, 전문적인 의료진과 상담하여 개인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